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성 신부전의 과정과 원인, 진행 속도 늦추는 법

by 소브스 2025. 3. 15.

만성 신부전 과정과 원인 사진

만성 신부전은 신장이 점진적으로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으로,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악화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신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혈압을 조절하고 적혈구 생성을 돕는 기능도 담당합니다. 하지만 신장이 오랫동안 손상되면 기능이 점차 저하되며, 결국 만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만성 신부전이란? 신장의 역할과 진행 과정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신장 기능이 50% 이하로 감소하면 여러 신체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신장 기능이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체내 노폐물과 독소가 축적되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합니다.

만성 신부전의 진행 과정 (신부전 5단계)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사구체 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됩니다.

1단계: 정상 또는 경미한 신장 손상 (GFR ≥ 90ml/min)

  • 신장 기능이 거의 정상이나, 단백뇨 또는 혈뇨가 발견될 수 있음
  • 고혈압, 당뇨병 등의 기저 질환이 신장 손상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음
  •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신장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

2단계: 경미한 신장 기능 저하 (GFR 60~89ml/min)

  • 신장 기능이 약간 저하되었지만, 여전히 증상이 거의 없음
  • 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 필요
  • 혈압 및 혈당 조절을 통해 신장 손상을 늦추는 것이 중요

3단계: 중등도 신장 기능 저하 (GFR 30~59ml/min)

  • 신장 기능이 50% 이하로 감소하면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
  • 피로감, 부종, 빈혈, 고혈압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 식이 조절 및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신장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됨

4단계: 중증 신장 기능 저하 (GFR 15~29ml/min)

  •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노폐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음
  • 혈압 상승, 심한 부종, 신경계 이상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신부전 진행을 늦추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투석 또는 신장이식을 고려해야 하는 단계

5단계: 말기 신부전 (GFR < 15ml/min)

  • 신장 기능이 거의 상실된 상태로, 신체가 스스로 노폐물을 배출할 수 없음
  • 극심한 피로감, 호흡 곤란, 체액 과다로 인한 부종, 전해질 불균형 등이 발생
  •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투석 치료(혈액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이 필수

2. 만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

만성 신부전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뇨병: 당뇨병이 오래 지속되면 신장 혈관이 손상되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
  • 고혈압: 고혈압이 신장의 혈관을 손상시키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됨
  • 사구체신염: 신장의 필터 역할을 하는 사구체가 염증으로 인해 손상되면서 신부전으로 발전
  • 다낭성 신장 질환: 유전적인 요인으로 신장에 물혹(낭종)이 생기며, 시간이 지나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됨
  • 반복적인 신장 감염 및 요로 폐색: 신우신염 등의 감염이 반복되거나, 결석으로 인해 신장이 손상되면 만성 신부전 위험 증가

3. 적절한 치료로 진행 속도를 늦추는 방법

1. 생활습관 관리

  • 저염식 식단 유지: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신장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단백질 섭취 조절: 신장 기능 저하 시 단백질 대사산물이 쌓이므로 적절한 단백질 섭취 필요
  • 충분한 수분 섭취: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지 않은 경우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야 함
  • 체중 관리: 비만은 신장 질환을 악화시키므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2. 약물 치료

  • 혈압 조절 약물 (ACE 억제제, ARB 계열): 고혈압이 신장 손상을 악화시키므로 혈압을 조절해야 함
  • 당뇨 조절 약물: 당뇨 환자는 혈당을 철저히 관리해야 신장 합병증을 예방 가능
  • 이뇨제: 체내 수분 조절이 어려운 경우, 부종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
  • 빈혈 치료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적혈구 생성이 감소하여 빈혈이 발생하므로 철분 및 조혈호르몬(EPO) 치료가 필요

3. 신장 대체 요법

  • 혈액투석: 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인공 신장을 통해 노폐물을 제거한 후 다시 체내로 돌려보내는 치료법
  • 복막투석: 복막을 이용하여 체내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법
  • 신장이식: 건강한 신장을 기증받아 이식하는 방법으로, 장기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결론: 만성 신부전의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

만성 신부전은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될수록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신장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으며, 말기 신부전까지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댓글